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연말정산

1주택 부부 사실혼 연말정산 혜택 받는 방법

by 계란빵- 2025. 3. 13.

 

오늘은 1주택 부부(1주택 배우자 + 무주택 배우자)의 연말정산 공제 가능 여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양한 무주택 세대주만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공제 항목들이 있는데요,

과연 부부가 된다면 어떻게 될지 정리해 봤습니다.

 

 

 

결혼을 준비하면서 부부가 되면 연말정산이 정말 복잡해지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주택을 보유한 배우자와 결혼을 하게 되면 원래 받고 있던 공제항목들을 전부 못 받더라고요.

이렇게 복잡하게 생각한 이유는 아직 결혼 준비 중인 사실혼관계이기 때문이긴 합니다.

 

사실혼 관계에서의 연말정산은 이전 글에서 다뤘으니 확인해 주세요.

 

1세대 1주택 사실혼 연말정산 무주택 세대주 조건

예비 신혼부부 중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어 사실혼 관계에 해당하는 분들 있으실 것 같습니다. (저도 작년에 그랬거든요!)연말정산을 준비하면서 사실혼 배우자가 같

yum-blossom.tistory.com

 



혼인신고 후, 1 주택 + 무주택 부부의 공제 여부

Q. 부부 중 한 명만 1 주택을 보유하고, 다른 배우자는 무주택이라면 무주택 조건으로 공제받을 수 있을까요?

A.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혼인신고를 하면 두 사람은 같은 세대로 간주되며, 1 주택을 보유한 부부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무주택 세대주 요건이 필요한 연말정산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이것은 부부뿐만 아니라, 부모님 집에서 세대원으로 거주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모님이 1주택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해당 집에 세대원으로 등록된 자녀도 1주택 세대원으로 보기 때문에

무주택 세대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혼인신고 전, 사실혼 관계에서는 공제 가능할까요?

이전 글에서 다룬 것처럼,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혼 관계의 부부는 각각 다른 세대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무주택 동거인으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만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가능한 항목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 월세 세액공제
  •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이 항목들은 "무주택 세대주" 조건이 필수이므로, 세대원이 아닌 세대주로 등록되어 있어야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비 신혼부부가 고려해야 할 점

결혼을 앞둔 신혼부부라면, 연말정산 공제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

무주택 배우자가 세대주로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무주택 배우자가 세대주로 등록하기
  • 전세 대출 또는 월세 계약을 무주택 배우자 명의로 하기
  • 주택청약종합저축도 무주택 배우자 명의로 가입하기

 

이렇게 하면 연말정산 공제 혜택을 최대로 받을 수 있을 거예요!
저는 이런저런 사정으로 연말정산에서 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 신혼부부분들께 무주택 세대주 조건을 활용하는 팁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